1. 중량물 이란?
1) “중량물"이란 작업자가 작업현장에서 취급해야 하는 물건을 말합니다.
2) 물건의 형태는 빗자루, 박스, 고철 등의 다양한 형태가 모두 포함이 됩니다.
3) 작업장 내에서 취급하는 5kg 이상의 물체에 대해 중량물 취급주의의 안전 표지를 부착해야 합니다.
2. 중량물 취급 작업 안전
1) 취급 : 잡는다, 움직인다, 놓아둔다
2) 운반 : 목적지에 이동한다.
3) 취급운반 : 1) 취급 + 2) 운반 이 합해진 것.
1) 상태 : 고체, 액체, 기체, 분체 또는 낱개인지, 용기에 있는가?
2) 크기 : 길이, 폭, 높이는 어떠한가?
3) 중량 : 1개당 중량, 체적 당 중량을 알 수 있는가?
취급대상물의 대상 방법취급대상물의 대상 방법
4) 재질 : 자석을 사용해서 취급할 수 있고, 물에 띄워서 취급할 수 있는가?
5) 성질 : 파손되기 쉬운가?폭발, 인화성, 유해한가?
6) 형상 : 가는가, 긴가, 모서리가 있는가, 둥근가, 모양이 특이한가?
7) 수량 : 많은가, 적은가?
8) 기타 : 파괴되기 쉬운가, 오염되기 쉬운가, 불안정한가, 뜨거운가, 차가운가?
3. 인력의 중량물 취급 작업
1) 허리를 중심으로 요통을 방지하기 위한 운동 실시
2) 운반통로 확인 및 통로상 장애물 제거
3) 작업자의 체력을 고려한 작업배치
4) 규정에 맞는 복장 및 보호구 착용
① 소매는 손목에 밀착, 상의 작업복 옷자락이 걸리지 않도록 조치
② 작업복 바지가 걸리지 않도록 조치
③ 분진, 유해화학물질을 운반 시 적합한 호흡 보호구 착용
5) 작업조건, 작업환경, 대상물의 형상, 근로자의 성별 및 연령 등을 고려하여 중량 결정
6) 인력운반 작업 시 관리감독자의 업무
① 작업환경을 정비
② 작업장 바닥, 통로 등의 시설 정비
③ 작업방법 교육 및 훈련
④ 근로자의 복장 및 안전보호구 착용 상태 확인
⑤ 근로자의 건강, 특성 파악 후 적정 배치
⑥ 피로도 조사 및 연구로 회복과 예방에 주력
⑦ 휴식시간 적정 배분
⑧ 중량물 취급 작업 전 준비체조 실시
4. 중량물 취급 작업의 재해유형
1) 개요
- 약 15~20kg 되는 제품을 이동하여 내리는 작업을 장기간 하던 근로자에게 근골격계 질환 발생
2) 안전작업
*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방법 수행
- 허리를 비트는 동작 및 허리를 구부리는 동작을 최소화 한다.
- 물체를 몸에 최태한 밀착시키고 무릎 아래 및 어깨 위 높이에는 가능한 한 물체를 두지않음
- 무거운 물체는 가볍게 나눠서 들거나 둘이서 같이 든다.
- 무거운 무체는 가능하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보조운반기구를 이용한다.
중량물의 재해사례
1) 개요
- 약 4kg 되는 부품을 불안정한 자세로 취급하여 손등의 뼈가 어긋나는 사고가 발생
2) 안전작업
* 저중량 물품 취급시 안정적인 자세로 취급
- 물품 취급 시 양손으로 들고 내림.
- 저중량 물품이라도 형상에 따라 2인1조 로 실시
- 물체를 몸에 최대한 밀착시키고 무릎 아래 및 어깨 위의 높이에는 가능한 물체를 두지 않는다.
그외 재해사례
1) 불안전한 작업 자세
- 업무 미숙련 일 경우 업무 숙련 이후 업무 배치
2) 무리한 중량물 취급
- 중량물 취급 시 대차 등을 이용하여 중량물 취급
3) 전방 시야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량물 취급
- 전방 시야 확보 될 수 있도록 중량물 나눠서 취급
4) 정리정돈이 불량하고 좁은 장소에서의 중량물 취급
- 정리정돈 및 운반이 필요한 중량물의 주변 공간 확보
'내화물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소각로 내화물 시공 시방서_김포 소각로 (0) | 2023.06.04 |
|---|---|
| 내화물시공_화기 안전작업 계획서 (0) | 2023.06.04 |
| 내화물 시공_고소작업 안전작업 계획서 (0) | 2023.06.04 |
| 소각로 내화물 시공_밀폐공간 작업 (0) | 2023.06.04 |
| 소각로 내화물 시공 절차서 (5) | 202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