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사업장내 밀폐공간의 위치 파악 및 관리방안
2.밀폐공간내 질식·중독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요인의
파악 및 관리 방안
3.밀폐공간작업 시 사전 확인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확인 절차
4.안전보건교육 및 훈련
5.그 밖에 밀폐공간 작업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에 관한 사항
6.작업 일시, 기간, 장소 및 내용 등 작업 정보
7.관리감독자, 근로자, 감시인 등 작업자 정보
8.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의 측정결과 및 후속조치 사항
9.작업 중 불활성가스 또는 유해가스의 누출∙유입∙ 발생
가능성 검토 및 후속조치 사항
10.작업 시 착용하여야 할 보호구의 종류
11.비상연락체계
12.프로그램의 평가

2. 밀폐공간 내 질식∙중독 등을 일으킬 수 있는유해∙위험요인의 파악 및 관리방안
| 물질 명 | 유해위험요인 | 대 책 |
| 내화물 | 흡입 | 건조한 재료의 분진을 많이 흡입했을 때는 즉시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고, 호흡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즉시 의사의 진단을 받는다. |
| 피부 접촉 | 물과 비누로 씻는다 | |
| 눈에 접촉 | 즉시 정상적인 물 또는 세안물로 세척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는 의사의 진단을 받는다. | |
| 분진 | 눈에 접촉 | 긴급 의료조치를 받는다. 물질과 접촉시 즉시 20분 이상 흐르는 물에 피부와 눈을 씻어낸다. |
| 피부 접촉 | 긴급 의료조치를 받는다 오염된 옷과 신발을 제거하고 오염지역을 격리한다. 물질과 접촉시 즉시 20분 이상 흐르는 물에 피부와 눈을 씻어낸다. 용융물질이 피부에 고착되어 제거할 시 의료인의 도움을 받는다 불편함을 느끼면 의료기관(의사)의 진찰을 받는다 |
|
| 흡입 | 과량의 먼지 또는 흄에 노출된 경우 깨끗한 공기로 제거하고 기침이나 다른 증상이 있을 경우 의료 조치를 취한다. 긴급 의료조치를 받는다. 호흡하지 않는 경우 인공호흡을 실시하고, 호흡이 힘들 경우 산소를 공급한다. |
|
| 용접봉 | 눈에 접촉 | 즉시 눈꺼풀을 들어올리면서 15 분 이상 흐르는 다량의 물로 씻어낸다. 의사의 조언을 받으시오. |
| 피부 접촉 | 오염된 부위를 비누와 물을 사용하여 씻는다. 화상용 약품 (바셀린등)을 바른다. 오염된 의복을 제거하고 세탁한다. 피부발진이 일어나거나 자극이 일어나면 의사의 조언을 받는다. |
|
| 흡입 |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옮기고 휴식을 취한다. 호흡이 곤란하거나 멈출 경우,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의사의 조언을 받는다. |

■ 송기마스크
송기마스크는 활동범위에 제한을 받고 있지만, 가볍고 유효사용 시간이 길어지므로 일정한 장소에서의 장시간 작업에 주로 이용한다.
1) 전동 송풍기식 호스마스크
① 송풍기는 유해가스, 악취 및 먼지가 없는 장소에 설치한다.
② 전동 송풍기는 장시간 운전하면 필터에 먼지가 끼므로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③ 전동 송풍기를 사용할 때에는 접속전원이 단절되지 않도록 코드 플러그에 반드시 “송기마스크 사용중” 이란 표시를 한다.
④ 전동 송풍기는 통상적으로 방폭구조가 아니므로 폭발하한을 초과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⑤ 정전 등으로 인해 공기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 대비한다.
2) 에어라인 마스크
전동 송풍기식에 비하여 상당히 먼 곳까지 송기할 수 있으며 송기호스가 가늘고 활동하기도 용이하므로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장소에서 주로 사용한다.
① 공급되는 공기중의 분진, 오일, 수분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에어라인에 여과장치를 설치한다.
② 정전 등으로 인해 공기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 대비한다.
■ 안전보호구
탱크나 맨홀과 같이 사다리를 사용하여 내부로 내려가야 하는 경우에는 안전대나 기타 구명밧줄 등을 사용하여 안전을 확보한다. 비상시에 작업자를 피난시키거나 구출하기 위하여 안전대, 사다리, 구명밧줄 등 필요한 용구를 준비하고 이것의 사용방법을 작업자에게 숙지하도록 한다. 작업시 작업장소에서 적정한 공기가 유지되도록 환기를 실시한 후 작업을 하며, 작업공간 내에서 유해가스가 지속적으로 발생한 경우(양수기 가동, 슬러지 제거작업 등)에는 계속적으로 환기를 실시한다.
'내화물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소각로 내화물 시공 시방서_김포 소각로 (0) | 2023.06.04 |
|---|---|
| 내화물시공_화기 안전작업 계획서 (0) | 2023.06.04 |
| 내화물 시공_고소작업 안전작업 계획서 (0) | 2023.06.04 |
| 중량물 안전작업 계획서 (0) | 2023.06.04 |
| 소각로 내화물 시공 절차서 (5) | 202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