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LOW CEMENT CASTABLE 시공요령
1. W.S.C류 내화물에 대하여
W.S.C(혹은 C.F.C)류 Castable은 종전의 Alumina Cement 결합계 Castable 내화물과는 달리 특수한 극미분의 도입과 분산 응집제의 활용으로 부터 적은 첨가 수분에서도 높은 유동성과 높은 결합 강도를 지닌 유입 전용의 Castable 내화물이다. 사용온도의 전영역에서 강도 저하가 없이 치밀충진 고강도의 시공체가 얻어지고, 내식성, 내마모성에 우수한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시공 요령
1) Anchor의 부착
Anchor의 부착 간격은 통상 Alumina Cement계 Castable과 동일하게 천정, 벽
시공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 250∼300mm 간격으로 설치하며, 비닐테이
프 등을 감거나, 페인트로 두껍게 발라 팽창대 역할을 유지하도록 한다.)
2) 거푸집 (형틀)
거푸집 재료로서는 두께 12∼18mm의 합판이 적당하다.
거푸집면에는 방수, 이형의 뜻으로 구리스등 유지류를 도포하여야 한다.
3) 혼련
①혼련기내의 이물질 제거
C.F.C계 Castable은 이물에 대한 허용 능력이 적어, 이물의 혼입은 유동성, 가
사 시간, 경화시간, 발현강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Mixer등 사용기기의 청소는 특히 엄중히 행하여야 한다.
②혼련기
C.F.C계 Castable은 점성이 강한 무겁고 단단한 혼련물이므로 혼련시 대단히
저항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혼련기로서는 혼련힘이 강한 Mixer를 사용해야 한
다.
③혼련수분
| 제 품 명 | WSC-17 | 혼 련 수 분 | 5.5 ~ 6.5% |
※ 만약 하절기 및 동절기에는 급경화 및 경화 지연이 발생하였을 경우는 Maker 에서
지정해 주는 소정의 Binder를 물에 녹인후 사용하여야 한다.
4) 충진
①Vibrator
진동력이 강한 대형의 Vibrator가 반드시 필요하다. 통상 500 ∼ 750w 정도
의 Flexible Vibrator가 최적이다. 시공 부위가 적을 경우 고무 망치 등으로 두
들겨서 시공도 가능하지만 물성 저하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주의하도록 한다.
②충진
분위기 온도가 높게 되면 혼련물의 가사 시간이 단축된다. 시공 현장의 온도가
높을 때에는 충진 작업을 빠르게 진행하여야 한다. 혼련물은 혼련후 30분 이내
에 충진 완료 하도록 한다.
5) 양생
양생 시간은 외기 온도에 따르지만
외기온도가 10℃ 이하의 경우 48Hrs〈
외기온도가 10℃ 이상의 경우 24Hrs〈 자연 방치 한다.
6) 탈형
탈형 작업은 양생 완료후에 행하지만, 거푸집은 해체하기 전에 경화 상태를 확인
한다.
7) 건조, 승온
C.F.C계 Castable은 치밀 시공체가 얻어지므로 여러가지의 뛰어난 물성을 획득
하는반면에 시공체가 치밀하기 때문에 건조시 수분의 증발소실하는 속도가 느리
게 된다. 따라서 급열하면 수증기에 의한 폭열현상을 일으킬수가 있다. 종전의
Alumina Cement계 Castable 보다 신중히 승온하도록 한다.
8) 여름철, 겨울철에서의 사용
①여름철
외기 온도가 높아질수록 가사 시간이 단축되므로 1회의 혼련량과 충진 작업 속도
의 조절에 주의하여 작업한다. 외기 온도가 30℃를 넘는 경우는 C.F.C계 Castable
혼합물을 냉암소에 보관하여 냉각하도록 주의 하여야 한다. 또, 혼련수도 얼음을
이용하는 등 냉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②겨울철
외기 온도가 낮게 될수록 양생 경화 시간이 길어지므로 경화의 확인, 탈형시기에
주의 하여 작업한다. 외기 온도가 5℃ 이하로 되면 C.F.C계 Castable계를 따뜻
하게 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또, 혼련수도 뜨거운 물을 가하는 등 따뜻한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외기 온도가 2℃ 이하 되면, 시공 충진후도 시공체의 보온에 주의하여 24hrs 이
상은 따뜻하게 보온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시공체가 경화하기 전에 빙결 되어서는 안된다.)
경화 불충분으로 탈형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형틀 바깥 부분에서
화목 또는 소형 Burner등으로 간접 가열하여 경화를 확인 후 탈형 하도록 한다.
2.단열 CASTABLE 시공요령
1. 일반 사항
수경성 LIGHT WEIGHT INSULATING CONCRETE 는 음료로 사용이 가능한 물과 수화반응에 의해서 강도를 나타내는 CASTABLE 내화물의 일종으로서 ENERGY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주로 BACK UP LINING재로 사용되며 온도 및 내부 운전 조건에 맞추어서 여러 종류의 품질이 있다. 시공 방법으로는 유입시공법과 쇠손 바름시공법의 2가지가 널리 사용되며, 때로 GUNNING 시공법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2. 포장 및 보관
LIGHT WEIGHT INSULATING CASTABLE 은 완전히 건조된 경량 골재에 결합용 ALUMINA CEMENT를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P.E COATING 지대로 포장 되어서 완전한 밀폐 포장 상태로 되어 있다. (포장 단위 20 - 30 Kg/bag)
그러나 제품이 정상적인 제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재를 건조한 장소에 보관하지 않으면 안된다. 만약 보관상 부주의로 인해서 자재에 수분이 혼입될 경우에는 시공체의 최종 강도에 나쁜 영향을 미치거나 심할 경우에는 포장된 상태에서 경화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또한 보관중에 자재가 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차가운 자재를 물과 함께 혼련할 때 혼련물이 얼기 때문이다.
창고에 보관시에는 3개 이상의 PALLET 를 중적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밀폐된 실내 창고가 없을 때에는 반드시 TARPAULIN 천막을 덮어야 하며, 바닥은 충분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CONCRETE 나 ASPHALT포장이 되어 있어야 한다.
수경성 내화재는 일정기간의 사용 수명이 있는데 이는 ALUMINA CEMENT의 수명에 기인하는 것이다. 자재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것 중에서 보관 상태가 양호한 것을 재 사용하고져 할 때는 시공에 앞서서 사용가능성에 대한 TEST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3. 시공전 준비사항
시공에 앞서서 다음 사항은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① 시공 부분은 깨끗하게 청소를 실시 하여야 한다. 특히 시공 표면의 이물질, 등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먼지, Scale, 기타 이물질, 녹 등은 고압 Air 또는 철솔로 제거한다.
만약 철피의 부식이 심하다고 판단되면 Sanding 또는 방청 처리 여부를 협의하
여 조치한다.
② 장비나 연장 (MIXER, HAMMER, VIBRATOR 등) 은 깨끗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③ANCHOR 의 설치 간격, ANCHOR 의 용접 상태등도 사전에 검사한다.
④주위의 온도가 5℃이하가 될 경우에는 특별히 주의 하여야 한다.
(겨울철 예방 조치 참조)
⑤혼련수는 사전에 점검하여 이상이 없는지 확인 하여야 한다.
4. 거푸집
거푸집은 시공 중 움직임이나 시공체의 BENDING 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거푸집은 방수자재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통상 합판이나 철판, PLASTIC 그리고 COATING 된 널판지가 사용된다. 거푸집의 표면에는 항상 이형제유 또는 GREASE 등을 발라서 내화물이 달라 붙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조치가 소홀할 경우에는 시공된 구조체 뿐만 아니라 거푸집도 손상을 받게 된다. 거푸집의 탈거 시간은 사용 내화물의 품질, 시공시의 주위온도, 시공체의 위치나 형상등에 크게 좌우되지만 통상적으로 최소한 12 시간은 경과 해야만 거푸집의 탈거가 가능하다. 만약 보다 짧은 시간내에 거푸집을 탈거하고져 할 때는 원진의 기술진과 충분한 검토 후에 조치 해야한다.
5. 혼련
시공에 앞서서 우선 혼련을 실시하게 된다.
혼련은 손으로 직접하거나 혼련기(MECHANICAL MIXER)를 사용하게 된다.
손으로 직접 혼련할 경우에는 혼련물의 유동성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아주 적은 량을 시공할 경우 외에는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련 작업은 깨끗이 청소한 곳이든지 아니면 깨끗한 용기 내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손으로 직접 혼련하든지 혼련기를 사용하든지 어느 쪽에서든 전체량을 동시에 혼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혼련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미리 준비된 MIXER에 아래의 요령으로 실시한다.
<예비혼련>
수분 첨가 혼련에 앞서서 예비 혼련을 하여야 하는데 약 5 회 정도의 회전이면 충분 하다. 예비 혼련의 목적은 자재의 운반이나 취급중에 일어난 입도 편재를 없애기 위해서 이다.
<수분첨가혼련>
LIGHT WEIGHT INSULATING CASTABLE 내화물은 물과의 수화반응에 의해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혼련수로는 淸水(Clean Water or Fresh Water)를 사용하여야 한다. 수온은 12 - 25℃의 상태가 가장 적당하며 반드시 5℃ 이상는 유지 되어야 한다. 시공에 소요될 자재 역시 위의 온도 범위내에서 관리되어야 한다.
수분 첨가량은 기 제출된 사양서에 수록되어 있지만 실제는 혼련물의 유동성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시공부위의 형상이나 시공 방법에 따라서 다소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혼련 요령은 우선 첨가 수분의 80 % 를 투입하여 균일한 유동성이 유지될때까지 충분히 혼련을 실시한다. 만약 수분이 부족할 경우에는 잔여 수분을 첨가하여서 고르게 되도록 혼련을 실시 한다. 혼련 시간은 5 - 6 분 정도이면 충분하다.
혼련에서 시공까지의 시간은 매우 중요하다. 짧은 혼련시간 (전체 혼련시간 6분 이내) - 혼련에서 설치 장소까지의 빠른 이동 - 짧은 시공 시간 이런 사항은 시공체의 층간 구분을 없애주며 최상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준다.
혼련물의 단위량은 30분이내에 설치 작업이 완료될 수 있는 단위로 하여야 한다.
6. 시공
LIGHT WEIGHT INSULATING CASTABLE 내화물의 시공법으로는 유입 시공법,
쇠손바름 시공법, GUNNING 시공법 등이 있다.
<CASTING>
시공 부위가 넓고 거푸집 설치가 용이한 경우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시공 두께에 맞추어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혼련물을 거푸집 내에 투입하고, 모서리 부분등에 충진이 되도록 쇠꼬챙이 등으로 잘 다져 넣는다. 형상이 복잡하거나 시공 부분이 좁은 경우에는 내화물의 유동성이 통상의 것에 비해서 더욱 좋게 할 필요가 있다.
<쇠손바름>
시공 부위의 면적이 좁고 시공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쇠손 바름으로 시공한다. 이때에는 WIRE MESH 나 HEX METAL 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재가 충분히 내부까지 들어가도록 압력을 가하여야 하며 내화물의 유동성도 보통 때보다는 적게 수분 조절을 하여야 한다.
7. 양생(CURING)
LIGHT WEIGHT INSULATING CASTABLE 은 수경성 제품으로 물과 섞이면 발열반응을 일으킨다. 시공 후 3 - 5 시간이 경과하면 시공 표면이 따뜻하게 되며 이 온도로 인해서 시공체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고 결국 불완전한 경화가 되어 강도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발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체 표면은 젖은 상태 , 상온 상태로 유지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주기적으로 가볍게 물을 뿌려 주어야 한다.
경화 중 시공체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헝겊이나 FOIL 등을 시공체에 덮어 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하더라도 시공체의 발열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으므로 시공체를 수시로 관찰하여 필요시에는 물을 뿌려 주어야 한다. 양생은 시공 후 부터 시작되고 최소한 24시간은 계속 된다.
양생기간 동안의 주위 온도는 15 - 30℃가 적당하며, 낮은 온도에서는 경화 및 양생 시
간이 더 필요하게 된다. 어떤 상황에서든지 양생이나 경화도중에 얼지않도록 해야 한다. 완벽하게 양생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상온 상태에서 장시간 건조시켜야 한다.
8. 건조 - 승온
건조와 초기 승온 과정은 내화물 시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과정에서 수화 반응으로 생성된 수분의 증발이 일어나게 되며 고온 영역에서는 구조체의 소결도 시작된다.
승온 과정은 시간당 일정한 온도씩 상승하게 되며 내화물의 등급이나 시공체의 두께에 따라서 승온 속도는 달라진다.
LIGHT WEIGHT INSULATING CASTABLE 의 경우에는 BACK UP재로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으로 다른 내화재의 승온 Schedule 에 따라서 실시하며, 단독으로 시공되어 건조 승온하는 경우라면 30 - 50℃/hr 의 승온 속도 대로 하면 된다.
9. ANCHORING
시공체의 두께. 위치 (바닥. 벽체. 천정 등) 에 따라서 ANCHOR 또는 SUPPORT를 설치하게 된다. ANCHOR 의 설치 목적은 외벽 또는 철구조물에 시공체를 고정시키는데 있으며 차후 수리나 보강 작업을 실시할 때에 타부분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일부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ANCHOR 의 간격은 시공체의 위치. 두께. 운전조건. 설치 방법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ANCHOR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METAL ANCHOR 의 경우 ANCHOR끝이 HOT FACE 에서 약 25 mm 정도 묻히도록 하여야 한다.
10. 겨울철 예방 조치
겨울철이라 하더라도 시공시의 Metal Suface 온도는 +5℃이상은 유지되어야 한다.
위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시공할 자재는 따뜻한 장소에서 충분히 방치하여서 내부까지 따뜻한 상태가 되도록 하며 혼련수 역시 따뜻한것을 사용하는 등 시공 하
는 동안에는 혼련물이 +10℃이상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경화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온도를 관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비록 경화중에 자체 수화 반응에 의해서 약간의 온도 상승이있다 하더라도 동결에 대한 사전 대비는 철저히
해두어야 한다. 시공체의 온도가 떨어지면 이에 비례하여 경화가 지연되며 온도가 0℃
상태에서는 경화가 중지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STEEL SHELL 에 직접 설치 시공할 경우에는 Steel Shell 의 온도가 爐 나 VESSEL 의 내부 온도에 비해서 낮을 경우도 있다는 것을 충분히 감안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LIGHT WEIGHT INSULATING CASTABLE 을 시공한 후에 10℃ 이상의 온도에서 최소한 24시간 이상 양생을 실시하여야 안심할 수 있다.
11. 여름철 예방 조치
열대지방이나 여름철과 같이 주위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약간의 특별한 사전 조치가 필요하다.
<저장>
주위 온도가 높은 것은 물론이고 여름철에는 습도가 매우 높으므로 수경성 내화물인 LIGHT WEIGHT INSULATING CASTABLE 은 가능한 한 건조한 장소에서 보관해야 한다.
STEEL DRUM 등과 같이 완전히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최상의 조건이지만 지대 포장지로 포장하여 SHRINK FOIL 로 포장한 경우라면 포장지를 벗기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을 하여야 하며 강한 직사 광선 하에서 보관하지 않아야 한다. 더운 주위 온도에서 시공할 경우 수분의 증발이 보통의 경우 보다 빠르므로 습식 양생 즉 습포를 덮고 자주 물을 뿌려 주는 등의 조치가 매우 중요하다. 더운 경우에는 철구조물이나 CASING은 온도가 더욱 높은 상태에 있으므로 STEEL CASING은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그늘을 설치 한다든지 STEEL CASING 외부표면에 물을 뿌리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일반 사항
수경성 내화CASTABLE은 음료로 사용이 가능한 물과 수화반응에 의해서 강도를 나타낸다. 수경성 내화CASTABLE은 안정화된 ALUMINA-SILICA계의 내화성 골재를 주원료로 하여 적정량의 ALUMINA CEMENT를 첨가한 것으로써 고강도 및 높은 열 충격 저항성 등의 특징이 있다.
시공 방법으로는 유입 시공법과 쇠손 바름시공법의 2가지가 널리 사용되며, 때로 GUNNING 시공법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2. 포장 및 보관
수경성 내화CASTABLE은 완전히 건조되고 엄선된 골재에 양질의 결합CEMENT 및 첨가제로 만들어져서 방수용 P.E 가 COATING 된 지대로서 포장이 되며, 지대 내부에는 P.E 필름 봉투가 내장되어서 완전한 밀폐 포장이 되어 있다. (포장 단위 40 Kg/bag) 그리고 PALLET에 쌓은 후에도 PALLET 단위로 SHRINK - FOIL 로서 밀폐를 시켜서 출하 된다.
CEMENT 및 결합제가 제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자재를 건조한 장소에서 보관해야 한다.
만약 보관상 잘못으로 인해서 자재에 수분이 혼입될 경우에는 시공체의 최종 강도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포장된 체로 경화되어서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야 한다.
또한 자재는 보관중에 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물과 섞었을때 혼련물이 얼기 때문이다. 그리고 PALLET 단위로 밀폐되어 있는 SHRINK - FOIL도 외부로 부터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창고에서 보관시에 3개 이상의 PALLET 를 중적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밀폐된 실내 창고가 없는 곳이라면 반드시 TARPAULINS 천막을 덮어야하며, 바닥은 충분한 배수가 될수 있도록 CONCRETE 나 ASPHALT 포장이 되어 있어야 한다.
양질의 CEMENT 및 결합제 잘 건조된 골재를 사용해서 제품을 만들지만 수경성 내화재는 수명의 제한을 받는데 이는 CEMENT 의 수명에 기인하는 것이다. 자재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것 중에서 보관 상태가 양호한 것을 재 사용하고져 할 경우에는 시공에 앞서서 사용 가능성에 대한 시료 TEST 과정을 거쳐야 한다.
3. 시공전 준비 사항
시공에 앞서서 다음 사항은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① 시공 부분은 깨끗하게 청소를 실시 하여야 한다. 특히 시공 표면의 이물질, 녹 등
은 반드시 제거 되어야한다.
먼지, Scale, 기타 이물질, 녹 등은 고압 Air 또는 철솔로 제거한다.
만약 철피의 부식이 심하다고 판단되면 Sanding 또는 방청 처리 여부를 협의하여
조치한다.
② 장비나 연장 (MIXER, HAMMER, VIBRATOR 등) 은 깨끗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③Anchor 의 설치 간격, Anchor 의 용접 상태등도 사전에 검사한다.
④주위의 온도가 5℃ 이하가 될 경우에는 특별히 주의 하여야 한다.
(겨울철 예방 조치 참조)
⑤혼련수는 사전에 점검하여 이상이 없는지 확인 하여야 한다.
4. 거푸집
거푸집은 시공 중 움직임이나 시공체의 BENDING 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거푸집은 방수자재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통상 합판이나 철판, PLASTIC 그리고 COATING 된 널판지가 사용된다. 거푸집의 표면에는 항상 이형제유 또는 GREASE 등을 발라서 내화물이 달라 붙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조치가 소홀할 경우에는 시공된 구조체 뿐만 아니라 거푸집도 손상을 받게된다. 거푸집의 탈거 시간은 사용 내
화물의 품질, 시공시의 주위온도, 시공체의 위치나 형상 등에 크게 좌우되지만 통상적으로 최소한 12 시간은 경과 해야만 거푸집의 탈거가 가능하다. 만약 보다 짧은 시간내에 거푸집을 탈거하고져 할 때는 원진의 기술진과 충분한 검토 후에 조치 해야 한다.
5. 혼련
시공에 앞서서 우선 혼련을 실시하게 된다.
혼련은 손으로 직접하거나 혼련기(MECHANICAL MIXER)를 사용하게 된다.
손으로 직접 혼련할 경우에는 혼련물의 유동성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아주 적은 량을 시공할 경우 외에는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련 작업은 깨끗이 청소한 곳이든지 아니면 깨끗한 용기 내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손으로 직접 혼련하든지 혼련기를 사용하든지 어느 쪽에서든 전체량을 동시에 혼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혼련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미리 준비된 MIXER에 아래의 요령으로 실시한다.
<예비혼련>
수분 첨가 혼련에 앞서서 예비 혼련을 하여야 하는데 약 5 회 정도의 회전이면 충분하다. 예비 혼련의 목적은 자재의 운반이나 취급중에 일어난 입도 편재를 없애기 위해서 이다.
<수분첨가혼련>
수경성 내화 CASTABLE 은 물과의 수화반응에 의해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혼련수로는 淸水(Clean Water or Fresh Water)를 사용하여야 한다. 수온은 12 - 25℃의 상태가 가장 적당하며 반드시 5℃ 이상은 유지 되어야 한다. 시공에 소요될 자재 역시 위의 온도 범위 내에서 관리되어야 한다.
수분 첨가량은 기 제출된 사양서에 수록되어 있지만 실제는 혼련물의 유동성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시공부위의 형상이나 시공 방법에 따라서 다소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혼련 요령은 우선 첨가 수분의 80 % 를 투입하여 균일한 유동성이 유지될 때까지 충분히 혼련을 실시한다. 만약 수분이 부족할 경우에는 잔여 수분을 첨가하여서 수분 첨가량은 기 제출된 사양서에 수록되어 있지만 실제는 혼련물의 유동성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시공부위의 형상이나 시공 방법에 따라서 다소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혼련 요령은 우선 첨가 수분의 80 % 를 투입하여 균일한 유동성이 유지될때까지 충분히 혼련을 실시한다. 만약 수분이 부족할 경우에는 잔여 수분을 첨가하여서 고르게 되도록 혼련을 실시 한다. 혼련 시간은 5 - 6분 정도이면 충분하다.
혼련에서 시공까지의 시간은 매우 중요하다. 짧은 혼련시간 (전체 혼련시간 6분 이내) - 혼련에서 설치 장소까지의 빠른 이동 - 짧은 시공 시간 이런 사항은 시공체의 층간 구분을 없애주며 최상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여준다. 혼련물의 단위량은 30 분이내에 설치 작업이 완료될 수 있는 단위로 하여야 한다.
6. 시공
수경성 내화CASTABLE의 시공법으로는 유입시공법, 쇠손바름시공법, Gunning시공법 등이 있다.
<CASTING (POURING:유입시공)>
시공 부위가 넓고 거푸집 설치가 용이한 경우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시공 두께에 맞추어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혼련물을 거푸집 내에 투입하고, 모서리 부분등에 충진이 되도록 쇠꼬챙이 등으로 잘 다져 넣는다. 형상이 복잡하거나 시공 부분이 좁은 경우에는 내화물의 유동성이 통상의 것에 비해서 더욱 좋게 할 필요가 있다.
<쇠손바름>
시공 부위의 면적이 좁고 시공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쇠손 바름으로 시공한다.
이때에는 WIRE MESH 나 HEX METAL 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재가 충분히 내부까지 들어가도록 압력을 가하여야 하며 내화물의 유동성도 보통 때보다는 적게 수분 조절을 하여야 한다.
7. 양생(CURING)
수경성 내화 CASTABLE은 수경성 제품으로 물과 섞이면 발열반응을 일으킨다.
시공 후 3 - 5 시간이 경과하면 시공 표면이 따뜻하게 되며 이 온도로 인해서 시공체의 수분이 증발하고 결국 불완전한 경화가 되어 강도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발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체 표면은 젖은 상태 , 상온 상태로 유지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주기적으로 가볍게 물을 뿌려 주어야 한다.
경화 중 시공체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헝겊이나 FOIL 등을 시공체에 덮어 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하더라도 시공체의 발열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으므로 시공체를 수시로 관찰하여 필요시에는 물을 뿌려주어야 한다. 양생은 시공 후부터 시작되고 최소한 24시간은 계속 된다.
양생기간 동안의 주위 온도는 15 - 30 ℃가 적당하며, 낮은 온도에서는 경화 및 양생 시간이 더 필요하게 된다. 어떤 상황에서든지 양생이나 경화 도중에 얼지 않도록 해야 한다. 완벽하게 양생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상온 상태에서 장시간 건조 시켜야 한다.
8. 건조 - 승온
건조와 초기 승온 과정은 내화물 시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 과정에서 수화 반응으로 생성된 수분의 증발이 일어나게 되며 고온 영역에서는 구조체의 소결도 시작된다. 승온 과정은 시간당 일정한 온도씩 상승하게 되며 내화물의 등급이나 시공체의 두께에 따라서 승온 속도는 달라지지만 대체로 30 - 50℃/hr 의 승온 속도 대로하면 된다.
9. ANCHORING
시공체의 두께, 위치 (바닥, 벽체, 천정 등)에 따라서 ANCHOR 또는 SUPPORT를 설치하게 된다. ANCHOR의 설치 목적은 외벽 또는 철구조물에 시공체를 고정시키는데 있으며 차후 수리나 보강 작업을 실시할때에 타 부분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일부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ANCHOR의 간격은 시공체의 위치, 두께, 운전 조건, 설치 방법 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ANCHOR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METAL ANCHOR의 경우 ANCHOR 끝이 HOT FACE에서 약 25mm 정도 묻히도록 하여야 한다.
10. 겨울철 예방 조치
겨울철이라 하더라도 시공시의 Metal Suface 온도는 + 5℃ 이상은 유지되어야 한다.
위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시공할 자재는 따뜻한 장소에서 충분히 방치하여서 내부까지 따뜻한 상태가 되도록 하며, 혼련수 역시 따뜻한 것을 사용하는 등 시공하는 동안에는 혼련물이 10℃ 이상이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경화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온도를 관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비록 경화중에 자체 수화 반응에 의해서 약간의 온도 상승이 있다고 하더라고 동결에 대한 사전 대비를 충분히 하여야 한다. 시공체의 온도가 떨어지면 이에 비례하여 경화가 지연되며 온도가 0℃ 상태에서는 경화가 중지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STEEL SHELL에 직접 설치 시공할 경우에는 STEEL SHELL의 온도가 爐나 VESSEL 의 내부 온도에 비해서 낮을 경우도 있다는 것을 충분히 감안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경성 내화 CASTABLE을 시공한 후에 10 ℃이상의 온도에서 최소한 24시간이상 양생을 실시하여야 안심할 수 있다.
그리고 STEEL SHELL에 직접 설치 시공할 경우에는 STEEL SHELL의 온도가 爐나 VESSEL 의 내부 온도에 비해서 낮을 경우도 있다는 것을 충분히 감안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경성 내화 CASTABLE을 시공한 후에 10 ℃이상의 온도에서 최소한 24시간 이상 양생을 실시하여야 안심할 수 있다.
11. 여름철 예방 조치
열대지방이나 여름철과 같이 주위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약간의 특별한 사전 조치가 필요하다.
<저장>
주위 온도가 높은것은 물론이고 여름철에는 습도가 매우 높으므로 수경성 내화물인 수경성 내화CASTABLE은 가능한 한 건조한 장소에서 보관해야 한다.
STEEL DRUM 등과 같이 완전히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최상의 조건이지만 지대 포장하여 SHRINK FOIL 로 포장한 경우라면 포장지를 벗기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을 하며 강한 직사 광선하에서 보관하지 않아야 한다. 더운 주위 온도에서 시공한 경우 수분의 증발이 보통의 경우보다 빠르므로 습식 양생 즉 습포를 덮고 자주 물을 뿌려 주는 등의 조치가 매우 중요하다.
더운 경우에는 철구조물이나 CASING 은 온도가 더욱 높은 상태에 있으므로 STEEL CASING 은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그늘을 만든다든지 STEEL CASING 외부 표면에 물을 뿌리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단열 Board 및 단열벽돌 쌓기
∘ 단열 Board 시공시 Board 와 Board 사이, 또는 Board와 Anchor, Bracket, NOZZLE 사이에는 틈이 없어야 한다. 틈 발생시 단열성을 가지는 Ceramic fiber bulk로 충진한다.
∘ 금속공구, 기타 Hammer 등으로 쌓는 것을 금하며 반드시 Plastic 망치 로 가볍게 두드려서 쌓는다.
∘ 단열 Board 및 단열벽돌은 일반적으로 물을 빨리 흡수하므로 한매마 다 Bond 및 Mortar를 발라서 시공한다.
∘ Level이 균일하지 않을 때는 단열톱으로 잘라서 시공한다.
∘ Mortar 두께는 2 ~ 3㎜를 원칙으로 한다.
2. 내화벽돌 쌓기
∘ Mortar는 사용할 벽돌의 재질과 동등한 것으로 시공한다.
∘ 노내표면에 노출되는 벽돌은 귀뜸 또는 Crack이 없는 양호한 것을 사 용한다.
∘ 벽돌의 가공은 원칙적으로 Cutter를 사용하며 부득이한 경우는 Single edge hammer, Special double edged chisel 등으로 신중히 가공한다.
∘ 가공벽돌 사용 시 원형크기의 1/2 이하의 것의 시공은 금한다.
∘ 벽돌쌓기 시작 전에 시공부위의 중심선을 설정하고 쌓아올린 면을 수 평되게 하기 위하여 기둥에 줄눈 나누기를 하여 쌓는다.
∘ 벽돌 지지류(Anchor등) 취부상태를 확인한다.
∘ 벽돌을 쌓아 올릴 때는 매단마다 실을 걸고 벽면의 수평과 수직을
Check하면서 작업을 한다. 또한 벽돌에 Mortar를 바르지 않고 쌓는 일이 없도록 한다.
∘ Mortar 두께는 2 ~ 3㎜로 한다.
'내화물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소각로 내화물 시공 시방서_김포 소각로 (0) | 2023.06.04 |
|---|---|
| 내화물시공_화기 안전작업 계획서 (0) | 2023.06.04 |
| 내화물 시공_고소작업 안전작업 계획서 (0) | 2023.06.04 |
| 중량물 안전작업 계획서 (0) | 2023.06.04 |
| 소각로 내화물 시공_밀폐공간 작업 (0) | 202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