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반 시 방 서
□ 일반사항
1. 본 시방은 제1ㆍ2호기 소각시설 내화물 보수공사에 적용하되 본 시방서에 기재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에 준한다.
2. 본 공사는 대전도시공사 공사감독원의 관장하에 시공 한다.
3. 이 의
도면과 시방서와의 내용이 다를때, 명기가 없을때, 관련공사와 부합 되지 않을 때 또는 의문이 생길때에는 감독원의 지시에 따른다.
4. 경미한 변경
공법의 사소한 변경 또는 이에 수반하는 약간의 수량 증감 등의 경미한 변경은 감독원의 지시에 따른다.
5. 설계변경
가. 발주자는 다음의 사유가 발생한 때에는 지방계약 관계법령에 따라 설계변경 할 수 있다.
- 발주자의 내부방침이 변경된때
- 설계내용이 공사의 목적달성상 부적합하다고 판명된때
- 새로운 공법이나 자재가 개발되어 공사의 질을 향상시키거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고 판단할 때
- 현장여건이나 설계조건이 변경된 때
- 천재지변등 기타 부득이한 사유가 발생한때
나. 설계변경으로 인하여 건물외관이나 기능이 변경될 경우에는 발주자와 합의를 거쳐 정한다.
6. 공정계획
착공전에 시행예정공정표를 작성하여 일부공종 및 지정기간 동안의 부분공정표를 제출하여야 한다.
7. 관공서등의 수속
공사수행에 필요한 관공서의 수속이나 인ㆍ허가 사항은 공사감독원의 협조를 받아 도급자 원활하게 처리한다.
8. 시공도
시공시 필요하거나 감독원이 요구하는 곳의 시공 상세 도면은 지체없이 시공자가 작성하여 감독원에게 제출한다.
9. 재 료
가. 재료일반
공사용 자재는 소정의 품질을 가진 신품으로 하며, 한국산업규격품을 사용한다. 다만, 한국산업규격품이 없는 경우에는 감독원의 지시에 따른다.
나. 검 사
현장에 반입한 재료의 검사는 상품을 완전히 표시하고 개봉되지 않은 채로 현장에 반입하여 모두 감독원의 검사를 받아 합격한것을 사용한다. 품질에 이상이 있다고 감독원이 인정할 경우에는 반입재를 즉시 장외로 반출한다.
다. 사용시의 불량품
검사에 합격된 재료라도 사용시 변질 또는 손상되어 불량품으로 인정 된때는 즉시 장외반출하며 이를 사용하지 아니한다.
10. 해체재료 및 발생자재
가. 공사장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발생품 및 기존건축물 또는 기존 공작물등의 해체로서 발생되는 재료 및 물품등은 모두 감독원이 지정하는 현장내의 장소에 정리보관 하고 불필요 하다고 인정하는 것은 장외로 반출 한다. 해체 및 발생재료의 처분 또는 재사용에 대하여는 감독원의 지시에 따른다.
나. 건설폐기물은 관계법규에 따라 적법하게 처리한다.
11. 시공검사
가. 각 공사부분은 미리 감독원이 지정한 공정에 이르렀을 때에 검사를 받고 다음 공정에 옮긴다.
나. 시공후에 검사가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공사부분은 감독원의 입회하에 시공한다.
12. 공사현장 정리
공사현장의 관리는 근로기준법, 근로안전관리규정, 기타 관계법규에 위배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3. 안전관리
가. 현장의 안전관리상 일반인 및 현장종사원의 출입을 통제하여 보안과 안전에 최대로 유의하여야 한다.
나. 착공과 동시에 현장 노무자에게 안전점검 및 안전에 대한 사항 등을 철저히 교육시켜야 한다.
다. 공사중 발생한 모든사고에 대해서는 도급자가 원활하게 처리한다.
14. 공사보고 및 공사사진
가. 보고서
공사의 진척, 재료의 반입 등 감독원이 필요하다고 지시한 사항에 대하여는, 그의 결과를 보고하여야 한다.
나. 공사사진
주요 시공개소 및 기타 감독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지시하는 공정에 이르렀을 때에는 사진을 찍어 2부씩 제출한다.
15. 마무리청소 및 원상복구
가. 마무리 청소
공사 완료시는 건물 내외의 정돈 및 청소을 완전히 한다.
나. 원상복구
공사 시공상 지면 및 기존시설물의 변경 또는 손상부분은 공사준공 기간내 원상복구 한다.
16. 공사의 준공
가. 공사의 준공은 준공검사 결과 이상이 없을때를 준공으로 한다.
나. 검사결과 기준에 미달하였을 경우 검사원의 지시에 따라 도급자 원활하게 재시공하여야 한다.
17. 제출물
가. 공사 위치별 공사 전․중․후 사진대지 2부
나. 기타 건물유지관리 및 우리공사 비치가 요구되는 서류
특 기 시 방 서
1. 일반사항
가. 적용범위
본 시방서는 대전도시공사 환경에너지사업소 제1ㆍ2호기 소각시설 내화물 보수공사의 제작, 검사, 철거, 현장설치, 시운전 및 성능보증 등에 대하여 적용한다.
나. 공 사 명 : 제1ㆍ2호기 소각시설 내화물 보수공사
다. 기 능 : 소각로 연소실 온도유지, 수관벽등 시설물 보호 및 소각로 최적 운전조건 조성
라. 위 치 :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덕대로 1284번길 191 환경에너지사업소 내
마. 공사범위
제1호기 소각시설 내화물 보수
| 시 설 명 | 위 치 | 보 수 내 용 | 시공면적 | 비고 |
| 쓰레기 공급기 |
단차부 | ▸캐스타블 교체 (CRT-SC30 + Y-앵커 + BOARD) |
5.507㎡ | |
| 건조단 | 상부 내화물 | ▸행거벽돌 / 캐스타블 / 내화재 교체 (RWH-35 + 85-RAM HS + KOAHLITE + Y-앵커 + BOARD) |
10.56㎡ | |
| 건조단 | 상부 라운드 | ▸캐스타블 교체 (CRESTO-85 + Y-앵커) |
7.74㎡ | |
| 건조단 | 상부 좌측벽면 | ▸내화벽돌 및 내화재 교체 (H-1(SK-38) + S.T.D B-5 + AN-1(SK-38) + SUPPIORT + 앵커 + BOARD + ROCK WOOL) |
4.147㎡ | |
| 폐열보일러 | 1차 연소실 | ▸캐스타블 교체 (SIRAM-90 + V-앵커) |
31.6㎡ |
제2호기 소각시설 내화물 보수
| 시 설 명 | 위 치 | 보 수 내 용 | 시공면적 | 비고 |
| 건조단 | 상부 내화물 | ▸행거벽돌 / 캐스타블 / 내화재 교체 (RWH-35 + 85-RAM HS + KOAHLITE + Y-앵커 + BOARD) |
10.56㎡ | |
| 건조단 | 상부 라운드 | ▸캐스타블 교체 (CRESTO-85 + Y-앵커) |
7.74㎡ | |
| 건조단 | 우측벽면 | ▸내화벽돌 및 내화재 교체 (H-1(SK-38) + S.T.D B-5 + AN-1(SK-38) + SUPPIORT + 앵커 + BOARD + ROCK WOOL) |
6㎡ | |
| 후연소단 | 우측벽면 | ▸내화벽돌 및 내화재 교체 (ML-60S + S.T.D B-5 + AN-1(SK-38) + SUPPIORT + 앵커 + BOARD + ROCK WOOL) |
3㎡ |
바. 공사기준
(1) 본 소각시설 내화물 보수공사는 도면에 표기된 내화물과 동등이상으로 제작설치(철거 포함)하여야 하며, 설치후 설비에 과부하나 악영향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2) 계약자는 본 시방서에서 제시한 설계 사양과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공급하여 성능이 보증되어야 준공된 것으로 본다.
(3) 소각시설 내화물 보수공사는 승온 및 양생기간을 감안하여 정기보수기간 중에 작업 ․ 완료 되어야 한다.
○ 정기보수기간
- 1호기 : 2019. 3. 16 ~ 4. 14 / 2호기 : 2019. 3. 2 ~ 3. 31
※ 환경에너지사업소의 사정에 따라 일정은 변경가능
2. 내화물 사양
가. 정형내화물
| 구 분 | 규 격 | 부피비중 | 겉보기 기공율 (%) |
압축강도 (㎏f/㎠) |
화학성분 (%) |
열전도율 (kcal/m.h.℃) |
| 내화벽돌 | SK-38 | 2.58 | 20 | 550 | Al2O3 63, Fe2O3 34 | |
| Hanger Brick | RWH-35 | 2.35 | 20 | 500 | Al2O3 51, Fe2O3 46 | |
| Hanger Brick | WA-55 | 2.35 | 20 | 500 | Al2O3 51, Fe2O3 46 | |
| 단열벽돌 | B-5 | - | 0.8 | 25 | Fe2O3 1 | 0.23(350℃) |
나. 부정형내화물
| 구 분 | Insu’Castables | Castables | Castables | Plastic | |
| 규 격(모델명) | Kosalite20 | Cresto-85 | Crt-Sc30 | 85-RAM HS | |
| 최고 사용 온도(℃) | 1,100 | 1,750 | 1,500 | 1,750 | |
| 시공 소요량(톤/㎥) | 1.15 | 3.10 | 2.45 | 2.96 | |
| 선변화율 (%) |
1350℃ | (110℃) -0.1 | -0.2 | -0.2 | 538℃ -0.70 |
| 1,500℃ | (1350℃) -0.4 | -0.3 | -0.3 | 1,399℃ -0.70 | |
| 압축강도 (㎏f/㎠) |
110℃ | 80 | 800 | 600 | - |
| 1,350℃ | (1,000℃) 50 | 1000 | 1100 | - | |
| 화학성분 (%) |
Al2O3 | 30 | 84 | 38 | 85.6 |
| SiC | - | - | 45 | - | |
| SiO2 | 55 | - | - | 6.6 | |
| CaO | - | 2 | - | Fe2O3 1.0 | |
| 열전도율 (kcal/m.h.℃) | 0.27(250℃) | 1.31(250℃) | - | 1.48(1093℃) | |
다. 단열재
(1) 단열보드 : H.T.B 50t
(가) 비중 및 압축강도 : 700㎏/㎥, 3.1㎏/㎠
(나) 열전도율 : 0.06(at 350℃) kcal/m.h.℃
(2) 단열보드 : Silica Board 50t
(가) 비중 및 압축강도 : 240㎏/㎥, 7.0㎏/㎠
(나) 열전도율 : 0.065(at 93℃) W/m.K
3. 내화물 설치 작업
가. 준비작업
(1) 보관관리
○ 현장에 반입되는 자재는 치수, 형상, 수량 및 운반시의 결함을 체크하여 불량품이 있으면 교체 조치한다.
○ 보관중 비 또는 습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창고에 파렛트로 적재하여 보관하여야 하며, 부정형내화물은 제조일로부터 6개월 이내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 재질별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제품이 섞이지 않도록 분리하여 보관한다.
(2) 재료의 반입
○ 시공순서를 고려하여 반입토록 하고 특히 벽돌의 반입 시는 모서리 부분등이 파손되지 않도록 운반시 세심한 주의를 한다.
(3) 시공전 준비사항
○ 내화물의 시공 위치를 결정한 다음, 시공부위 철구조물의 설치상태를 체크하여 철구조물의 설치 오차가 10mm 이상 발생할 경우, 공단에 검측Report를 제출하고 Anchor 고리의 길이를 조절하여 소각로 내부의 평면이 일치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 기존 내화물 철거시 주위의 내화물이나 기기에 손상을 주어서는 안 되며, 철거 작업용 공구류를 주의 깊게 사용하여 철거하여야 한다.
○ 기존 내화물 철거후 부식된 Anchor는 부식된 부분에 신규 Anchor를 용접 처리한다.
○ Anchor의 재질은 STS 304, 310, 316이며, 크기는 기존 Anchor와 동일한 것이어야 한다.
나. 시공기준 일반
(1) Castable 내화물의 시공
○ 내화물의 재질이 우수하다 하더라도 시공상의 문제로 인해 내화물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시공에 필요한 혼련시간, 혼련수분, 수질의 적합여부, 앵카의 선택 및 설치방법, 팽창대 설치, 시공방법, 양생건조 및 승온 등의 내용을 파악하여 적절히 선정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 보 관
- 시공전의 Castable은 비 또는 물을 피할 수 있고 건조하여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 바닥에 적재를 피하고 파렛트 위에 보관한다.
- 시공현장에 야적해야만 할 경우, 풍우에 의한 수분방지 등을 위하여 적절한 조치를 한다.
- Castable의 보관기간은 일반적으로 6개월 정도이므로 장기보관을 금한다.
○ 형틀 설치
- Castable은 시공시 Vibrator로 진동 타설하거나 막대기 등으로 충진 시킬때 Castable 하중, 진동에 의해 형틀이 Bending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형틀을 설치하여야 한다.
- Castable과 맞닿는 거푸집 표면은 내화물의 수분이 거푸집에 흡수되지 않게 구리스 등으로 1.0~1.5mm 코팅한다.
- 형틀이 시공도중 밀리거나 굽혀지지 않도록 각목이나 형강으로 단단히 지지되게 조립하고 거푸집 연결부위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 설치한다.
○ Mixing
- Mixing은 콘크리트 Mixer나 Paddle Type Mixer가 적절하며 사용전 깨끗이 청소하여 이물질이 없어야 한다.
- 1회 혼련량은 30분이내에 사용할 수 있는 양으로 한다.
- 첨가수는 (pH 6~8, 온도 5~20℃) 마실수 있는 정도의 청수를 사용한다.(해수, 오수는 절대 사용금함)
- Castable의 시공수량은 용량비로 환산하여 혼련시 적당한 물통으로 물량을 정해 첨가한다.
- Castable을 Mixing할 시 1~2분 건식 혼련한후 소요수량의 2/3을 먼저 넣고 혼련하면서 나머지 1/3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작업성을 조정한 후 2~3분간 혼련하여 배출시킨다.
- 혼련중 혼련물을 중도에 방치하면 혼련물이 경화되므로 중도에 공사를 중단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 동일한 작업을 행할 시 혼련량, 혼련시간, 첨가수는 동일 조건으로 한다.
- 너무 오랫동안 Mixing할 경우 응결점을 지나 Gel화 되어 경화되므로 최대 혼련시간을 시방서에 표기하고 반드시 혼련시간은 지켜져야 한다.
○ 시 공
- 내화물의 시공전 각종 측정용 Nozzle 및 구멍이 도면대로 설치되었는지 점검하고, 측정용 구멍이 캐스타블로 인해 막히지 않도록 구멍에 빈봉(파이프 등에 종이를 여러번 감은것 사용)을 설치한 다음 시공후 제거한다.
- 단열 시공체와 접하여 시공되는 경우 이 단열 시공체가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비닐로 막거나 기타 방법으로 방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단열재가 수분을 흡수할 경우 Castable의 경화시 수분부족으로 인한 강도 저하의 요인이 됨)
- 금속면에 Castable을 시공할 경우 Sand Blasting으로 모든 녹 및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며 Metal Anchor 등은 그리스(Grease)나 Tar를 입혀 금속의 팽창에 대한 여유를 준다.(Tape를 감아도 무방함)
- Castable은 물을 섞은 후부터 20분이내에 유입을 완료시켜야 하며 막대기로 충진시키거나 형틀을 Vibrating 또는 Tapping시켜 기포를 없애고 구석구석 충진이 잘되도록 한다.
- 연속작업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한 구역씩 완전히 마무리 시킨 후 하루 작업을 끝내어야 하며 작업이 한 시간 이상 중단될 경우, 소정의 두께에 이루지 못한 부분은 완전히 깎아 내도록 한다.
- 시공시부터 양생시간 동안은 20~35℃의 온도를 유지해야 하며 특히 동절기에는 시공체가 얼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 시공시에는 Anchor 뒷면이 잘 충진되도록 주의하여 충진한다.(Crack 및 박리현상의 발생원인)
- Castable의 경화가 시작되기 전에 굴곡진 부분은 깎아 내거나 더하여 마무리 한다.
- 휴식시간 또는 작업을 부득이 중단할 경우에는 Mixing된 Castable이 없도록 해야 한다.
- Castable 내화물 팽창대 : 시공도에 준하여 시공중 변형이 되지 않는 적당한 두께의 베니아판 등을 팽창대로 사용한다.
○ 양 생
- Castable의 양생은 손가락으로 표면을 문질러 자국이 나지 않거나 표면이 따뜻해질 때부터 시작된다.
- Castable의 양생과정 동안 15~35℃의 온도를 유지시켜 주어야 하며, 온도가 낮을 경우 보온용 COVER를 하여야 하며, 온도가 높을 경우 WATER SPRAY 등에 의해 냉각시켜줄 필요가 있다.
- 양생은 24~48시간동안 또는 수화열이 없어질 때까지 식힌다.
- 형틀 해체는 시공후 24시간 이후에 양생 강도가 발현 되었을 때 제거하는 것이 원칙이나 긴급시에는 시공체를 지지할수 있는 양생강도의 발현(약10시간 소요)과 동시에 제거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상태를 확인하고 해체하여야 한다.
(2) 라운드 내화물 시공
○ 철거된 라운드 부분을 깨끗하게 청소하여야 하며 특히 부식된 앙카는 제거한다.
○ 앙카류는 도면에 의거 견고하게 용접하여야 하고 고정철판이 부식이나 마모가 발생시 보강하고 시공에 임한다.
○ Side Wall의 팽창대를 고려하여 하부 Wooden Form을 견고히 설치한다.
○ 거푸집 시공완료후 캐스타블을 주입하여 시공한다. 이때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한다.
(3) 용 접
○ 용접방법은 전기아크 용접이고 용접 종류는 필렛 용접이다.
○ Anchor류의 용접 위치는 도면에 지시된 대로 정확히 표시하여 가용접후 연속 용접한다.
○ 계약자는 화재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화재예방책을 강구하도록 한다.
○ 용접순서
- 중심으로부터 용접 시작해서 가장자리 쪽으로 진행한다.
- 비틀림이 생기지 않도록 대칭적으로 진행한다.
○ 용접봉
| 구 분 | 용접봉 재질(KS 규격) | 비 고 |
| SS400 - STS304 | D309-16 | 연강과 스텐레스 용접 |
| STS304 - STS310S | D308-16 | 스텐레스와 스텐레스간 용접 |
○ 용접봉 규격 및 용접 전류
| 용접봉 규격 | 3.2Φ | 4Φ | 5Φ | 비 고 |
| 전류(A) | 90 ~ 130 | 135 ~ 185 | 190 ~ 250 |
○ 검 사
- 용접부의 용접 Slag의 청소상태 외관검사
- Anchor류의 용접상태 확인 : 망치로 때려서 맑은 음이 들리면 용접 상태가 양호한 것이고 용접부가 탈락하면 재 용접한다.
(4) 건조 및 승온
○ 계약자는 내화물 시공에 따른 건조 및 승온 상세 계획서를 작성, 제출하여야 하며 계획서에 명시된 건조 및 승온곡선에 따라 수행하여야 한다.
○ 자연건조 및 승온
- 내화물 시공완료후 약 20℃의 상온 상태에서 48시간 동안 자연건조를 실시한다.
- Burner 건조 및 승온 계획서는 해당 사업소 내화물 등 제반 특성을 고려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건조와 승온의 미흡으로 인한 내화물 이탈ㆍ균열 등 발생시 계약자 부담으로 정상적인 방법에 의거 재시공하여야 한다.
○ 승온에 따른 연료비는 발주처(사업소 연료비) 비용으로 한다.
다. 공사완료
(1) 소각로 연소실 내화물 보수공사 완료는 공사감독원 입회하에 보수가 정상완료 되었는가를 계약자가 검사받아야 한다.
(2) 소각로 연소실 내화물 보수공사 완료는 다음사항이 만족되어야만 완료된 것으로 본다.
○ 내화물 시공상태, 내화벽돌의 조적상태, Anchor의 취부상태, 열팽창대 시공상태 등
○ 양생, 건조, 승온계획에 의한 완료 후 정상운전 시점
○ 발생폐기물 처리완료 및 공사완료에 따른 서류제출
라. 기타 사항
(1) 계약자는 공사수행중 발생되는 폐자재, 폐내화물을 포대등 적절한 용기에 담아 감독관이 지정한 장소에 신속하게 정리하여야 하고 오염물질이나 빗물이 스며들어 환경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포장하여 덮어 놓는다. 공사중 발생되는 폐기물은 발주자가 처리한다.
(2) 공사수행 중 발생되는 기타비용은 계약자 원활하게 처리한다.
(3) 현장 보수작업이 호기별로 주어진 보수기간내에 모든 제반사항(철거, 설치, 건조, 시운전)이 완료되어야 한다. 만약, 이를 어겼을 경우 발생되는 문제 및 행정처분에 대해서는 계약자가 책임있게 처리한다.
(4) 대전 소각시설의 정기보수일정에 따라 공사기간은 변경될 수 있다.
(5) 소각시설의 정기휴지기간에 여러공정이 병행되어 보수를 수행함에 따라 위험하고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특히 안전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때 타 공정의 업체와 원만하게 협의하여 신속한 보수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
'내화물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내화물시공시방서_아산소각로 (8) | 2023.06.04 |
|---|---|
| 내화물시공_해운대.명지소각로 시방서 (4) | 2023.06.04 |
| 내화물시공시방서_마포자원회수시설 (0) | 2023.06.04 |
| 내화물시공시방서_구리소각로 (0) | 2023.06.04 |
| 내화물 시공시방서_김해소각로 (0) | 2023.06.04 |